리틀 포레스트 (Little Forest), 더 일찍 나왔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영화.
오랜만의 영화 포스팅.
3.1 휴일을 맞이하여 '리틀 포레스트' 라는 영화를 봤다.
'리틀 포레스트' 작은 숲이라는 제목부터 편안하게 다가왔고, SNS에서도 추천하는 글이 많아 선택하게 됐다.
최근 3년 이내에 본 영화 중 가장 좋았던 영화가 되었다.
나는 개인적으로 좋은 영화를 판단하는 기준은 평소에 못하던 생각을 갖게 해주는 영화
그리고 이해하지 못했었던 것들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화를 좋아하는 편이다.
리틀 포레스트는 이 두 가지 모두 나를 충족시킨 영화인 것 같다.
먼저, 나에게 농촌에서의 생활이 매력적인 요소들을 정말 잘 설명해주었다.
개발자의 관점에서 보면 리틀 포레스트의 여자 주인공은 풀스택 요리사이다.
직접 씨를 뿌리고, 농사를 지어 만들고 요리까지 해서 정말 멋진 요리들을 해먹는다.
정말 멋지고 가치있어 보였고, 매력적 이면서 그 동안 엄마가 만든 음식들이 왜 맛있었는지를 깨
닫게 해주는 장면이었다. 우리엄마는 풀스택 요리사였다..!
내가 하고 있는 서버 개발자라는 직업 뿐만 아니라 모든 개발자들에게 풀스택 이라는 것은 말도 안된다. 반도체는 어떻게 만들 것이며, 또 반도체로 회로를 설계하고, 회로로 컴퓨터
를 만들고, OS, 응용 소프트웨어... 불가능하다. 하지만, 영화에서 혜원은 마지막 완성품인 요리에 필요한 모든 level의 작업들을 컨트롤한다.
정말 매력적이지 않을 수가 없었다.
조금 더 생각해보면 농부는 사람들의 먹을거리를 해결 했고, 반도체(전자 산업)은 모든 세계를 연결하고 시스템화 했다.
전자 산업이 더 가치있는 일이 되버린 배경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번째로는 리틀 포레스트는 농사를 지으시는 부모님에 대한 이해를 갖게 해준 영화다.
내가 태어날 때 부터 함께 산 할아버지는 전업 농부셨고, 부모님 또한 전문 농업인은 아니셨지만 텃밭에 야채와 논에 벼를 심으셔서 농사를 지으셨다.
사실 나는 어릴적에 농사일이 너무 싫었다. 농사일은 정말 힘든데 그에 대한 대가. 즉 돈을 많이 벌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일하고 오신 아버지가 또 힘들게 농사를 지으시는 모습이 내 눈에는 절대 이해할 수 가 없었다.
이 영화를 보면서 아버지, 어머니가 했던 이야기들이 조금씩 떠올랐다.
직접 농사 지으신 감자, 상추, 고추 , 쌀, 토마토 등을 맛있게 드시면서 행복해 하셨던 표정들이 생각났다.
왜 부모님이 힘들게 농사를 지으셨고, 왜 어머니의 식탁이 서울에서 만날 사먹는 음식보다 그토록 맛있었는지...
어릴 때는 너무 당연해서 느낄 수 없었던 것들이 서울에 상경한지 7년의 삶과 그리고 리틀 포레스트가 다시 한 번 느끼게 해줬다.
직접 지은 농산물과 수산물의 맛, 그리고 행복에 대해서.
어릴 때 이 영화가 나왔다면, 지금 처럼 크게 먼가 느끼지는 못했어도 부모님의 삶을 이해하는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이번 달에 집에 내려가면 농사를 지으시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여전히 힘들기는 하지만 기쁘게 도와 드릴수 있을 것 같다.